2025년 헬스장 PT 수영장 연말정산 소득공제 자격, 공제율, 한도, 방법
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및 짠테크

2025년 헬스장 PT 수영장 연말정산 소득공제 자격, 공제율, 한도, 방법

by 효랑이이 2025. 5. 22.
반응형

2025년 7월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헬스장에서 pt(퍼스널트레이닝)을 받거나 수영장에서 강습을 받는 경우에도 연말정산에서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운동하면서 건강도 챙기고, 연말정산에서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기회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깔끔하게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2025년-헬스장PT-수영장-연말정산-소득공제-자격,공제율,한도,방법
2025년 헬스장 PT 수영장 연말정산 소득공제 자격, 공제율, 한도, 방법

 

 

  • 대상자: 연 소득(총급여) 7,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
  • 공제율: 연간 결제 금액의 30%
  • 공제 한도: 연 300만 원까지
  • 적용 시설: ‘체육시설법’에 따라 등록된,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헬스장·수영장
  • 시행 시기: 2025년 7월 1일부터

실제 얼마나 세금 혜택을 받을까? (절세 예시)

실제 절감되는 세금은 소득공제액에 본인의 한계세율(지방소득세 포함)이 적용되어 산출됩니다.

  • 예시 1) 연봉 7,000만 원, 헬스장 이용료 80만 원 사용

공제 대상 금액: 80만 원 × 30% = 24만 원

적용 세율: 한계세율 24% + 지방소득세 10% = 26.4%

실제 절세액: 24만 원 × 26.4% ≈ 63,000원 절세

 

  • 예시 2) PT 비용으로 300만 원 사용

공제 대상 금액: 300만 원 × 30% = 90만 원 (한도 내 최대)

실제 절세액: 90만 원 × 26.4% ≈ 237,600원 절세

단, 시설 이용료와 강습비가 구분되지 않으면 전체 금액의 50%만 소득공제 대상
(예: 300만 원 중 150만 원만 시설 이용료로 간주 → 45만 원 소득공제 → 약 119,000원 절세)

 

 

PT(퍼스널 트레이닝) 주의할 점

초기에는 PT가 공제 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최종적으로 시설 이용료와 PT 비용이 구분되지 않는 경우 전체 금액의 50%를 시설 이용료로 간주하여 소득공제가 가능합니다. 헬스장 결제 시 시설 이용료와 PT 강습비를 명확히 분리해서 결제하지 않으면 전체 금액의 절반만 공제 대상이 됩니다.

헬스장 측에서 임의로 코드 입력을 조작하거나 실제와 다르게 처리하면 탈세로 간주되어 세무조사 대상이 될 수 있으니, 반드시 정식 결제 및 영수증 발급을 받으세요. 정확한 절세를 위해 단말기를 분리해 결제하거나, 영수증에 항목이 명확히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헬스장-pt-수영장-소득공제-자격,방법
헬스장 pt 수영장 소득공제 자격,방법

 

소득공제 받으려면 꼭 확인하세요!

  • 공제 대상 시설: 반드시 ‘체육시설법’에 따라 등록된,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로 등록된 헬스장·수영장만 해당
  • 결제 수단: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필수. 현금 결제 시 영수증 꼭 챙기세요.
  • 연말정산 신청: 국세청 홈택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체육시설 이용 내역이 자동 반영되는지 확인

 

2025년 7월부터는 운동하면서 건강도 챙기고 세금도 아낄 수 있는 시대가 열립니다. 하지만 시설 등록 여부, 결제 방식, PT 비용 분리 등 꼼꼼히 체크해야 진짜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시즌 전에 미리 준비해서, 놓치지 말고 혜택 챙기세요!

 

반응형

댓글